"자산을 쌓는 일은 누구에게나 중요하지만, 지원이 절실한 이들에게는 곧 자립의 시작입니다."
장애인 누림통장은 중증 장애 청년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경기도가 직접 지원하는 사업입니다. 2025년에도 신청이 시작되면서, 본인의 조건에 맞게 신청할 수 있는지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많은데요. 지금부터 지원대상부터 신청방법, 필수 교육과 유의사항까지 한 번에 정리해 드립니다.
1. 장애인 누림통장이란?
장애인 누림통장은 경기도와 시군이 함께 운영하는 중증 장애 청년 자산형성 지원사업입니다. 본인이 납입한 금액에 대해 동일한 금액을 1:1로 매칭 지원받을 수 있으며, 최대 24개월 동안 최대 480만 원(본인+지원금)을 모을 수 있습니다.
2. 지원대상 및 중복 가능 여부
항목 | 내용 |
지원대상 | 주민등록상 경기도 거주 중인 만 19~23세(2002~2006년생) 중 장애 정도가 ‘심한’ 장애인 |
중복 여부 | ✅ 가능: 디딤씨앗통장, 청년도약계좌 등 ❌ 불가능: 동일 자산형성 지원사업 중복 |
📌 중증 장애인으로 분류되며, 자산형성 사업 중복 여부는 반드시 확인이 필요합니다.
3. 적립 구조 및 수령 조건
항목 | 내용 |
가입기간 | 최대 24개월 |
본인 납입금 | 월 1만 원 ~ 최대 10만 원 |
매칭지원 | 본인 납입금과 동일한 금액 지원 (1:1 매칭) |
총 수령 가능액 | 최대 480만 원 (본인 240 + 지원금 240) + 이자 |
필수 조건 | 자립역량강화 교육 이수 필수 |
주의사항 | ❗ 중도 해지 시 본인 납입금만 반환 (정부 지원금 미지급) |
💡 예시: 월 10만 원 × 24개월 → 본인 240만 원 + 지원금 240만 원 = 총 480만 원 + 이자
4. 신청 기간 및 방법
항목 | 내용 |
신청 기간 | 2025. 4. 7(월) ~ 4. 30(수) |
신청 방법 | 본인 또는 대리인이 주소지 관할 행정복지센터 방문 접수 |
필수 지참물 | 본인 또는 대리인 신분증 지참 |
작성 서류 | 행정복지센터 비치 - 참여신청서 - 자가진단서 - 개인정보 동의서 |
5. 필수 교육 이수 방법
지원금을 받기 위해서는 자립역량강화 교육 수료가 필수입니다. 교육은 서민금융진흥원 온라인 교육포털에서 수강할 수 있으며, 수료증을 제출해야 합니다.
항목 | 내용 |
교육 사이트 | 서민금융진흥원 금융교육포털 |
수료방법 | 회원가입 → 맞춤형 교육 → 누림통장 교육 수강 |
제출 방법 | ✅ 이메일: nurimbank@ggwf.or.kr ✅ 카카오톡: ‘경기도 장애인 누림통장’ 채널 추가 후 전송 |
📌 수료하지 않으면 만기 수령 제한이 발생하니 반드시 이수하세요.
6. 신청 시 유의사항
장애인 누림통장 신청 전 반드시 확인해야 할 항목들입니다.
유사 자산형성사업 참여 시 중복 불가
교육 미이수 또는 중도 해지 시 지원금 제외
만기 수령 시 사회보장급여(기초생활수급, 장애인연금 등)에 영향 가능
서류 미비 또는 지연 제출 시 접수 불가
📞 문의처: 관할 행정복지센터 또는 누림센터 (☎ 1544-6395)
7. 마무리
장애인 누림통장은 단순한 저축 통장이 아니라, 미래를 설계하고 자립을 준비할 수 있는 정책형 금융지원책입니다. 장애청년 본인 또는 보호자라면, 2025년 신청 기간 안에 빠짐없이 신청하시길 바랍니다. 지금 바로 관할 행정복지센터를 방문하여 신청 절차를 시작하세요. 경기도 누림통장 채널을 통해 안내 메시지도 받아보세요!😁
'경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5년 경기도 예술인 기회소득 지원금 신청방법 및 지원대상 총정리 (0) | 2025.04.27 |
---|---|
2025년 자영업닥터제, 소상공인지원 대상 및 신청방법 안내 (0) | 2025.04.20 |
2025년 5월 청년 혜택 청년내일저축계좌 및 도약계좌, 국가장학금, 주거급여 총정리 (0) | 2025.04.19 |
2025년 근로장려금 자동신청 대상 확대 및 신청 방법, 신청자격 알아보기 (0) | 2025.03.30 |
2025년 건강일터 조성지원사업 이동식 에어컨 정부 지원 알아보기 (0) | 2025.03.29 |